fbpx
  •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cart chevron-down close-disc
:
Browse Categories

At Home with Kinfolk

At Home with Kinfolk

 

소개의 글

2011년 포틀랜드에서 창간, 현재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Kinfolk는 밀레니얼 세대에 한층 더 능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합니다.

At Home with Kinfolk 전시에서는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모두에게 타임리스한 에스테틱과 현대적 실용성을 겸비하였던 프렌치 모더니즘 대표 디자이너 4명의 작품들을 통해 영감 넘치는 주거공간 컨셉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2020.7.20
킨포크 팀 일동


Virtual Exhibition

French Modernism이란?

20세기 초 프랑스, 산업혁명과 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었다. 많은 이들이 모이자 도시의 거주 부족 등 현실적 문제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젊은 건축가들이 모여 건축, 예술 등 기존의 전통의 양식에서 벗어난 현실적이고 독창적인 대안들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탄생한 ‘French Modernism 프렌치 모더니즘’이란 1920년대 부터 1950년대를 중심으로 세계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언어체계를 수립한 시기이다. 프랑스의 건축가들은 건축과 삶의 모양에서 실질적인 쓰임과 변화를 도모하여 이를 디자인으로 연결시켰다.

 

French Modernism의 중요성과 의의

자연과 조화 그리고 황금비에 의거한 건축 그리고 실용성. 당시 프랑스의 산업사회와 전쟁 후 산업혁명에 의한 철재 등의 신소재 및 대량 생산의 가능성과 더불어 자유와 안정을 꿈꾸던 사회분위기를 반영한 디자인이다. 그 당시 함께 성행했던 바우하우스 이념은 장식을 버리는 동시에 의미 전달을 위한 가독성과 단순한 형태와 비례를 통한 디자인을 추구하였고, 머신 에이지를 맞아 산업 재질을 사용한 디자인으로 산업 생산을 목표로 했다는 점에서는 비슷하나 바우하우스가 산업 생산에 치중해 기능적이고 단순한 디자인을 추구한 반면 프렌치 모던은 바우하우스가 놓친 디테일을 추가하여 미감을 더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Marcel Breuer의 Cesca Chair와 Jean Prouve의 Standard Chair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The Designers

Le Corbusier

1887 – 1965

 

“집은 살기 위한 기계다”

스위스 태생이나 프랑스로 넘어가 기존의 건축 관념을 깨고, 오늘날 현대 건축에 적용되는 많은 이론을 만들어낸 건축 이론의 선구자 역할을 하여 현대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최초의 아파트(유니테 다비타시옹)을 만들기도 했다.

Pierre Jeanneret

1896 – 1967
“미니멀하고 평범한 아름다움이 위대한 것”

재능있는 화가이자, 예술가, 건축가였던 그는 사촌 형이자 멘토였던 르 코르뷔지에에게 많은 영향을 받고, 그와 수많은 건축 프로젝트를 하며 인도주의적인 접근과 진보적인 건축 사상에 따른 디자인을 실행했다. 특히 인도 찬디가르 프로젝트에서 디자인한 다양한 용도의 가구들이 최근들어 재조명돼 르 코르뷔지에의 명성에 가려졌던 그도 사후에서야 최고의 디자이너로 인정받게 된다.

 

Charlotte Perriand

1903 – 1999
“생활의 예술(l’art de vivre)!”

1920-30년대 남성 지배적인 프랑스의 디자인 업계에서 유리천정을 뚫고 가장 성공한 여성 디자이너로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만드는 `생활의 예술’을 일관되게 추구하며 진보적인 사고와 적극적인 활동으로 가구 디자인과 건축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Jean Prouvé

1901 – 1984
“만들어 낼 수 없는 디자인은 생각지도 말라”

가구에서 주택, 공공건축까지 폭넓은 활동을 했던 그는 합리성과 단순성, 구조적 기능성을 중시한다는 측면에서 철재 등의 신소재를 활용한 공업적 생산방식을 미술과 결합시켰다. 기능적이며 고전적인 직선미를 추구한 엔지니어적 디자이너로 독보적인 인물이다.


Furnitures

A-1. Single Neck Easy Chair (1950s)
Pierre Jeanneret
Chandigarh

인체와 닿는 면들이 케인 소재로 되어있어 통풍이 잘 되는 것이 특징이며, 2~30개 밖에 발견 되지 않아 잔느레의 이지체어 중 가장 희귀한 피스이다.
A-2. Teak Stool (1965-66)
Pierre Jeanneret
Chandigarh

티크 소재로 된 스툴로 펀잡대학교의 과학연구소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실제 실험실에서 사용되었다.

 

A-3. Arm Sofa Set (1959)
Pierre Jeanneret
Chandigarh

5인용 소파로 같은 곳에서 제작되고 사용되었다는 레터링이 표기되어있어 빈티지 시장에서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잔느레의 찬디가르 공공프로젝트 가구들 중 쿠션 소재의 제품들은 특히 고위공무원들의 사무실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4. Polar Bear Sofa (1947)
Jean Royere
France

‘이 작품의 디자이너인 장 로이에는 ‘소수를 위한 럭셔리한 디자인’으로 명성을 떨친 프랑스 출신의 디자이너이다. 장 로이에는 다른 프렌치 모더니즘 디자이너들과 프랑스 현대 미술가 연합(Union des Artistes Modernes)을 설립하여, 서로 아이디어를 나누고 활발한 작업 활동을 펼친 또 한 명의 대표적인 프렌치 아티스트로 손꼽힌다.
이 작품은 유행을 타지 않으며 휴식 공간에 걸맞은 유기적인 모양과 볼륨감이 특징이며, 눈에 띄는 흰색 울 벨벳 커버로 ‘북극곰’이라는 애칭 겸 호칭을 얻게 되었다.
이번 전시 작품은 스웨덴 유명 인테리어 디자이너 안드레아스 마틴 로프가 로이에의 걸작 폴라베어 소파를 오마쥬한 스페셜 리프로덕션 작품이다.
A-5. Dirty Linen Box (1956)
Pierre Jeanneret
Chandigarh

주로 일반 가정집에서 빨랫감이나 물건을 담는 데 사용됐다. 보관함 뿐만 아니라 스툴이나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A-6. Standard BS Curved Desk (1941)
Jean Prouve
France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이 데스크는 철재와 목재를 혼용하여 만들어졌다. 측면에 여러 콤비네이션의 서랍을 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후 원래의 형태에서 여러 배리에이션이 이루어졌다. 이 작품 상의 곡선으로 휘어진 (curved) 윗부분과 다리 밑부분의 스테인리스 또한 가장 유명한 배리에이션의 일종에 속한다.
A-7. Standard Chair (1934)
Jean Prouve
France

일명 스쿨체어라고도 불리는 스탠다드 체어는 1934년 프랑스 식민지 시절 아프리카에 있는 학교를 위해 디자인됐다. 의자 뒷다리에 상체의 하중이 가장 많이 실린다는 것에 착안, 뒷다리를 삼각형 모양으로 설계하여 공학적 견고함을 더했다. 대부분의 모델이 좌판과 등판은 우드, 프레임과 다리는 메탈로 되어있다.
A-8. Antony Daybed (1954)
Jean Prouve
France

프루베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앙토니 시립대학의 공모전에 입선하여 148개의 방에 들어가는 가구를 디자인하는 기회를 얻었다. 프루베 디자인답게 철제 프레임이 그 특징이며, 이후 페리앙에 의해 나무소재의 사이드테이블이 더해졌다.
A-9. Antony Bookcase (1954)
Jean Prouve
France

앙토니 데이베드, 앙토니 체어와 함께 앙토니 시립대의 기숙사용으로 디자인된 책장이며, 총 68개만 제작된 희소성이 높은 작품이다. 페리앙의 Mexique bookcase를 개량해서 만든 디자인이며, 일본의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은 슬라이딩 도어가 주요한 특징이다. 샬롯 페리앙과 공동 디자인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 프루베 아틀리에에서 제작되었다.
A-10. Antony Chair (1954)
Jean Prouve
France

앙토니 데이베드와 같이 앙토니 시립대를 위해 디자인된 의자로, 프루베가 가구 분야에 있어 거의 마지막으로 힘을 쏟아 디자인한 의자이다. 50년대에 디자인됐지만 여전히 세련되고 다이나믹한 모양을 지닌다. 기존 디자인 방식을 따르지 않고 두께와 모양을 달리한 박막철판 프레임을 합판 쉘과 우아하게 결합했다. 비트라에서 잠시 재생산했지만 2002년 이후 생산 중단되어 리프로덕션 제품역시 희귀성이 높아졌다.
A-11. Untitled (1955)
Le Corbusier
France

르 코르뷔지에의 오리지널 판화.
A-12. Office Chair (1956)
Pierre Jeanneret
Chandigarh

제작 수량이 가장 많은 디자인으로 섹터 1의 주정부 건물 중 행정 건물을 위해 디자인되었다. 이와 같이 학교나 관공서 등의 공공기관에 납품된 가구들은 수량 확인을 위해 넘버 레터링이 표기되어있다. 좌석과 등판이 분리되어있는 ‘플로팅 백 (Floating back)’의 형태로 되어있다.

A-13. Caned Stool (1965)

Pierre Jeanneret
Chandigarh

케인 소재의 윗면으로 만들어진 높이가 높은 스툴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된 스툴이다.
A-14. Folding Chair (1955)
Pierre Jeanneret
Chandigarh

폴딩체어는 옥션 역사상 단 1회만 등장했던 굉장한 레어 피스로, 어느 개인주택을 위해 좌식 생활용으로 디자인 되었다.
A-15. Kangaroo Chair (1955)
Pierre Jeanneret
Chandigarh

콜로니얼 스타일의 캥거루체어는 희귀성 뿐만 아니라 오브제같이 유니크한 디자인과 소재(대부분 Sissoo-인도산 로즈우드) 때문에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는다. 등받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옆면이 알파벳 Z의 형태를 띄고 있다.
A-16. Caned Bench (1956)
Pierre Jeanneret
Chandigarh

V leg의 형태로 된 케인드 벤치. 주로 학생들 숙소, 병원, 개인주택 등을 위해 디자인 되었다.
A-17. Berger Stool (1947)
Charlotte Perriand
France

페리앙이 휴양차 절친 잔느레와 방문한 알프스 메리벨 지역 산장에서 양치기들이 양젖을 짤 때 사용한 작은 우드 스툴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했다. 따라서 “Milking Stool” 이라고도 불린다. 검은색 스툴의 경우 희귀성 때문에 내츄럴 오크색보다 빈티지 시장에서 2~30%가량 더 고가로 취급된다.
A-18. Cite Cansado Sideboard (1958)
Charlotte Perriand
France

프랑스령 아프리카 모르타니아의 Cansado 시에 세워진 프랑스 철광회사 Miferma의 관리직들이 지내던 주택단지에 들어간 캐비넷이다. 슬라이딩 도어로 제작되었다.
A-19. Unite D’habitation Open Kitchen (1952)
Charlotte Perriand
France

1952년 르 코르뷔지에는 ‘유니테 다비타시옹’으로 알려진 마르세이유와 베를린에 건축한 주택 단지의 인테리어를 페리앙에게 요청했다. 여기서 페리앙은 처음으로 부엌 가구를 콤팩트하게 모듈화하였고, 최초의 오픈 키친으로 지금까지도 인정받고 있다. 가운데 열린 공간은 다이닝룸과 키친을 연결하며,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어느쪽에서도 식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A-20. Nuage (1958)
Charlotte Perriand
France

프랑스령 아프리카 모르타니아의 Cansado 시에 세워진 프랑스 철광회사 Miferma의 관리직들이 지내던 주택단지에 들어간 선반이다. 페리앙이 일본에서 머무르던 시절 본 구름처럼 생긴 벽걸이 모듈러 선반에 영감을 받아 디자인하였다. 조립식 선반이기에, 다양한 구성 및 배치가 가능하다. 장 프루베의 아틀리에에서 제작되었다.
A-21. Committee Chair (1953-54)
Pierre Jeanneret
Chandigarh

Committee 혹은 Senate Chair로 불리는 의자로 찬디가르 주의회 회의실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A-22. Built-in Shelf (1950-1960s)
Pierre Jeanneret
Chandigarh

피에르 잔느레 하우스 등 주로 가정집에 빌트인으로 설치되어 있었던 기하학적 디자인의 선반으로 빈트 갤러리에서 이번 전시를 위해 아르데코풍으로 메탈 프레임을 별도 제작하여 재구성하였다.
A-23. Bench with Drawer (1958)
Charlotte Perriand
France

프랑스령 아프리카 모르타니아의 Cansado 시에 세워진 프랑스 철광회사 Miferma의 관리직들이 지내던 주택단지에 들어간 벤치이다. 13개의 오크 나무 조각과 철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페리앙의 대표작 중 하나인 Cansado 벤치 위에 합판으로 제작된 서랍과 패브릭 쿠션, 등받이가 추가된 형태이다. 벤치와 소파, 수납 기능을 모두 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B-1. Writing Chair (1960)
Pierre Jeanneret
Chandigarh

펀잡대학교에 쓰일 목적으로 디자인된 책걸상으로 현재까지도 펀잡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다. 한쪽 다리는 알파벳 V, 반대쪽 다리는 알파벳 Y를 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B-2. Diwan Daybed (1957-58)
Pierre Jeanneret
Chandigarh

프루베의 철재로 된 앙토니 데이베드와는 달리 우드소재로 된 다리가 특징이다. 고위공무원들이 식사 후 낮잠을 자는 용도로 제작되었다.
B-3. File Rack (1958)
Pierre Jeanneret
Chandigarh

펀잡주 정부청사와 각종 행정건물, 도서관 등에서 서류보관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디자인되었고, 200여개 안팎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청된다.
B-4. Office Desk (1958)
Pierre Jeanneret
Chandigarh

피존홀 데스크라고도 불리우는 오피스 데스크는 주청사(secretariate)와 기타 펀잡주의 많은 오피스에서 발견된 가장 보편적인 책상이다.
B-5. Office Chair (1956)
Pierre Jeanneret
Chandigarh

제작 수량이 가장 많은 디자인으로 섹터 1의 주정부 건물 중 행정 건물을 위해 디자인되었다. 이와 같이 학교나 관공서 등의 공공기관에 납품된 가구들은 수량 확인을 위해 넘버 레터링이 표기되어있다. 좌석과 등판이 분리되어있는 ‘플로팅 백 (Floating back)’의 형태로 되어있다.
B-6. Screen (1957)
Pierre Jeanneret
Chandigarh

인도 찬디가르의 고위직 공무원들이 뜨거운 태양을  피하기 위해 사용했던 스크린이다. 대나무(케인)소재로 엮여있던 것을 패브릭으로 리스토어링하였다.
B-7. X Leg Easy Chair (1955-56)
Pierre Jeanneret
Chandigarh

등판과 좌판이 분리된 ‘플로팅백(Floating Back)’ 형태로 기존의 뒤로 실리는 하중을 앞뒤로 분산시킨 디자인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다리가 알파벳 X의 형태를 띈다.
B-8. Magazine Rack (1961-62)
Pierre Jeanneret
Chandigarh

1961~62년에 디자인하여 주로 찬디가르 도서관에서 쓰였던 매거진 랙이다. 앞면에 적힌 레터링에서 볼 수 있듯이 정기간행물을 진열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알루미늄과 나무가 조화를 이루며 알루미늄판의 각도에 따라 진열대뿐만 아니라 보관함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B-9. Arm Sofa Set (1959)
Pierre Jeanneret
Chandigarh

5인용 소파로 같은 곳에서 제작되고 사용되었다는 레터링이 표기되어있어 빈티지 시장에서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잔느레의 찬디가르 공공프로젝트 가구들 중 쿠션 소재의 제품들은 특히 고위공무원들의 사무실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10. Standard Chair (1934)
Jean Prouve
France

일명 스쿨체어라고도 불리는 스탠다드 체어는 1934년 프랑스 식민지 시절 아프리카에 있는 학교를 위해 디자인됐다. 의자 뒷다리에 상체의 하중이 가장 많이 실린다는 것에 착안, 뒷다리를 삼각형 모양으로 설계하여 공학적 견고함을 더했다. 대부분의 모델이 좌판과 등판은 우드, 프레임과 다리는 메탈로 되어있다.
 
 

Artworks

 

Choi Myoung Young

“평면은 회화의 숙명”

최명영은 1970년대 중반 한국의 대표적 추상미술운동인 ‘단색화’의 형성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 화가이다. 이 특정 작품은 한지에 먹물을 덮은 뒤, 뒤에서 솔로 두드려 화면위에 마티에르(matière)를 표현한 것이다. 물감과 롤러를 사용해 반복적으로 캔버스를 균일하게 덮어 나가던 다른 작품들에 비해 표면에 물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명영의 궁극적 목표는 회화의 평면성을 초월하는 것이다. 이처럼 화면에 마티에르와 같은 접촉감을 도입한 것은 회화가 지닌 평면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Na Jum Soo

“예술은 붙들 수 없는 것을 붙드는 행위”

나점수는 작품과 그것이 놓인 지정된 공간에서 마치 바람과 같은 어떠한 부가적인 의미도 담기지 않은 자연 상태의 본질을 전달하는 조각가이다. 그를 대표하는 작업 중 하나인 ‘식물적 사유’ 시리즈의 조소 작업은 매체를 근본적으로 변형하는 것이 아닌 매체에 대한 미세한 개입의 개념으로 해석된다. 그 때문에 나무, 바위, 흙, 짚, 목탄 등의 자연적 매체의 고유한 특질을 오롯이 유지하는 그의 고유한 작업 방식은 관객이 작품을 마주하는 순간 익숙한 물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Conditional Planes 8304 (1983)
Choi Myoung Young
Oriental ink on Korean paper
74 x 140 cm
Thinking Origined From Plants (2009)
Na Jum Soo
Wood, painting
51 x 98 x 28 cm
Thinking Origined From Plants (2012)
Na Jum Soo
Wood, painting
92 x 28 x 22 cm
The depth of The surface, Thinking Origined From Plants (2016)
Na Jum Soo
Charcoal on paper, wood frame
94 x 57 cm

Layout


About the Space

by Teo Yang

Living Room

Dining Room

Korea Tea Room

Library Corner


Partners

 

kinfolk.kr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웹사이트 구조화,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 및 맞춤형 광고 노출을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사쿠키 정책을 참고하십시오. kinfolk.kr을 계속 사용하시려면 "동의하기"를 눌러 진행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