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cart chevron-down close-disc
:
Browse Categories
  • Travel

레바논의
포도원에서

새로 출간된 「킨포크 트래블」의 일부를 발췌한 이번 기사에서,
와인 제조자 마허 하브는 산비탈 포도원에서 포도알이 와인이 되기까지의 여정에 우리를 초대한다.
글 by Lina Mounzer. 사진 by Bachar Srour.

 

<셉트> 주조장은 레바논의 유서 깊은 해안 도시 바트로운의 고산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구불구불한 산길을 따라가면 한쪽에는 떡갈나무가 늘어서 있고 다른 한쪽으로는 푸른 계곡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주조장이 모습을 드러낸다. 상쾌하면서 약간 건조한 공기는 백리향, 세이지, 오레가노 등 야생 허브의 향기를 가득 품고 있다. 지저귀는 새소리와 귀뚜라미 울음소리가 생기를 더한다. 이런 환경은 레바논 유일의 바이오다이나믹 와이너리를 운영하는 마허 하버가 토종 포도를 재배해 내추럴 와인을 주조하기에 완벽한 조건이다.

하브는 레바논의 포도밭에서 얻을 수 있는 포도의 독특한 가치와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데 열정을 쏟고 있다. 이런 테루아의 잠재력을 믿는 지역 와인 메이커가 하브 혼자만은 아니다. 어쨌든 이곳은 오래전부터 포도주를 생산해온 지역 가운데 하나다. 작은 나라인 레바논은 무려 56개의 와이너리를 자랑한다. 15년에 걸친 내전이 끝난 1990년에는 다섯 개에 불과했음을 감안하면 실로 놀라운 숫자다. 대부분은 베카 계곡의 고지대 평원에 위치한다. 그곳에 가면 <샤토 크사라>(1857년 예수회 수도사들이 설립한 레바논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와이너리)나 비교적 최근에 생긴 <샤토 마르시아스>에 들렀다가 포도주의 신 바커스를 모신 거대한 신전을 비롯한 바알베크 로마 유적지를 방문할 수 있다.

하지만 레바논의 와인 제조는 로마보다 더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페니키아인들은 무려 기원전 2500년부터 이집트로 와인을 수출했다. 틀림없이 레바논의 토종 포도 품종으로 주조한 와인이었을 것이다. 현대 레바논의 고급 와이너리들이 다시 대중화하려는 것이 바로 이 품종이다. 오래된 와이너리는 대부분 카베르네 쇼비뇽, 베를로, 생소 같은 프랑스 품종을 사용하는 반면, 신생 와이너리는 걸쭉한 오바이데흐와 상큼한 감귤류 향이 나는 메르와흐 등 레바논의 토종 청포도를 사용한다. 샤토 케프라야의 파브리스 기베르토 같은 주조업자들은 더 나아가 이제는 쓰이지 않는 아스와드 카레흐와 아스미 누아르 등 토종 적포도 품종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 중이다.

작은 나라 치고 레바논의 와인은 종류가 꽤 많다. 대부분 전 세계 소매점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할 수 있다. 샘플링에 관심 있는 감정가는 미헬 카람의 책 「레바논의 와인Wines of Lebanon」을 참고하여 구매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역시 와인에 생명을 불어넣은 테루아를 즐기며 와인을 맛볼 수 있는 와이너리를 직접 방문하는 것이 최고다. <셉트> 주조장에서 마허 하브가 제공하는 서비스처럼 포도알이 유리잔에 담기기까지의 과정 전체를 가이드와 함께 따라가볼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셉트>를 찾아가고 싶다면 베이루트에서 자동차를 렌트하거나 택시를 전세로 빌리는 것이 최선이다. 하브는 집에 어떤 손님이 찾아와도 똑같이 환대한다. 계단식 농장으로 함께 이동해 포도나무 아래 얼룩덜룩한 햇살 속에서 그것들을 어떻게 재배하는지 설명해준다. 배가 고프면 손수 요리도 해준다. 신선한 제철 재료로 만든 지중해 식단에 ‘레바논 느낌’을 가미한 음식이다. 식탁에는 종종 그가 포도원 주변에서 구한 야생 아스파라거스, 리크, 햇마늘의 여린 새싹도 올라온다. 탁 트인 하늘 아래 펼쳐진 푸르른 산마루, 지중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나무 테이블에 그는 진수성찬을 차려낸다. 초록 언덕은 구름을 뚫고 바다까지 쭉 이어진다. 수평선과 만나는 곳에서 바다는 반짝반짝 빛난다. 물론 음식과 잘 어울리는 다양한 와인도 빠지지 않는다. 하브는 자신의 와인을 맛본 사람들이 “산, 레바논, 테루아”를 만끽하고 돌아가기를 바란다.

“레바논의 와인 주조는 로마보다 더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셉트>는 하브의 열정이 빚어낸 프로젝트로, 사업이라기보다 소명에 가깝다. 자신의 브랜드에 담긴 개성을 강조하기 위해 많은 사업가들이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긴 하지만 하브의 포도원 운영 철학은 그의 인생 철학과 일치한다. 그는 돈벌이는 되지만 영혼 없이 하던 일을 버리고 프랑스에서 돌아와 아버지가 남긴 농장을 일구기 시작했다. 그의 아버지는 레바논 내전 중에 돌아가셨다.

이 땅으로 돌아온 것은 그에게 치유의 과정이었다. 그 보답으로 그는 땅을 치유하는 농법을 실천한다. 여느 바이오다이나믹 주조인들처럼 그는 사람의 일정에 맞춰 나무가 서둘러 열매를 맺도록 화학물질을 사용하기보다 땅의 리듬에 맞춰 음력에 따라 농사를 짓는다. 그는 포도나무에 살충제를 뿌리지 않으며, 와인에 첨가물을 넣지 않고 내추럴 와인을 만든다.

레바논은 최근에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 2019년 10월의 반란으로 생긴 잠깐의 희망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속화한 경제 붕괴에 굴복했다. 화폐 가치는 급락했고 많은 사람들이 먹고살기조차 힘들어졌다. 2020년 8월 베이루트 항구에서는 2,000톤이 넘는(1,814미터톤) 방치된 질산암모늄에 불이 붙어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폭발이 일어났다. 많은 레바논 사람들이 그렇듯 하브도 이런 연이은 충격에 휘청댔지만 복구와 재정비를 위해 분투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모든 일을 겪으면서도 그는 행성과 음력 주기에 따라 파종과 수확을 반복하며 의연히 와이너리를 지켰다. 땅과 더불어 그의 주조장도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밀물과 썰물을 관장하는 강력한 힘은 그의 계단식 농장에서 자라는 섬세한 껍질 속 포도 한 알 한 알에도 같은 자력을 발휘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 이 나라에 닥친, 극복하기 어려워 보이는 힘겨운 현실도 이 땅의 심오한 역사 앞에서는 잠깐의 혼란에 불과할 것이다. 레바논은 페니키아, 로마, 오스만 등 제국의 흥망성쇠에서부터 도시 전체를 쓸어버리고 해안선까지 바꾼 지진에 이르기까지 온갖 격변을 거쳐온 나라다. 레바논을 방문하면 자연이 순환한다는 교훈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모든 역경은 결국 역사를 비옥하게 하는 거름이 된다. 이 모든 조건이 하브가 와인 한 병 한 병마다 담기기를 바라는 풍성한 테루아를 구성한다.

이 기사는 「킨포크 트래블」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했다. Kinfolk.kr에서 주문할 수 있고,
11월부터는 전 세계의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이 기사는 「킨포크 트래블」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했다. Kinfolk.kr에서 주문할 수 있고,
11월부터는 전 세계의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kinfolk.kr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웹사이트 구조화,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 및 맞춤형 광고 노출을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사쿠키 정책을 참고하십시오. kinfolk.kr을 계속 사용하시려면 "동의하기"를 눌러 진행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