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는 사람의 집을 들여다보면 왠지 금기를 어기는 뜻한 짜릿함을 느낀다. 아무도 몰래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지 관찰할 수 있는 드문 기회이기 때문이다. 관음증을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사적인 공간 속 타인의 모습에서 분명 어떤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대도시에서 특히 필요한, 낯선 사람들과의 교감을 느끼기도 한다. 앨프레드 히치콕의 1954년작 스릴러 「이창Rear Window」에서 이러한 강요된 친밀감은 도시 속 좁은 공간에 대한 관음증과 이웃 간의 도덕적 책임(또는 책임의 결여)을 은유한다. 다리를 다친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제프는 다시 일을 할 수 있을 때까지 맨해튼 아파트 창문으로 이웃들을 훔쳐보며 시간을 보낸다. 같은 곡을 강박적으로 반복 연주하는 작곡가, 아파트 안에서 걷는다기보다 춤을 추듯 이동하는 발레 댄서, 상상 속 손님과 만찬을 즐기는 외로운 여자를 관찰한다. 결국 그가 한 이웃이 아내를 살해했을지도 모를 정황을 목격하면서 ‘남의 사생활에 간섭하지 않는다’라는 불문율은 한계에 이른다. “내가 저 창을 통해 똑똑히 봤다니까요.” 제프는 찾아온 사람들에게 자신의 추리를 납득시키기 위해 이렇게 주장한다. 그는 타인의 집에 쳐들어가는 용서할 수 없는 행위를 허용하는 서류인 수색영장을 발급받기 위해 필요한 증거를 꿰맞춘다. 창문을 들여다보는 행위는 도덕적으로 미심쩍은 행동에 대한 문화적 비유다. 하지만 은밀함이라는 요소가 제거되면 어떻게 될까? 네덜란드에서는 남의 집 창문을 들여다보는 습관이 문화에 뿌리내려 있다. 16세기에 개신교 개혁가 장 칼뱅의 등장으로 시작된 칼뱅주의 종교 공동체는 시민이 하느님과 이웃에게 숨겨야 할 비밀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고, 커튼을 불온한 물건으로 취급했다. 운하를 따라 늘어선 암스테르담의 주택가에는 오늘날에도 커튼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밤에 운하를 따라 산책하는 사람들에게 남의 집 창문을 들여다보는 행위는 일종의 오락거리나 다름없다. 현대사회에서는 서로를 ‘훔쳐보는’ 기발한 방법이 수없이 등장하면서, 타인의 삶을 들여다보는 통로라는 창문의 기능은 예전만 못 하다. 하지만 미지의 주방이나 거실을 엿보는 것만큼 불온한 쾌감을 주는 것은 드물다. 살인 사건을 해결할 단서를 찾기보다 기껏해야 참고할 만한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얻는 게 전부라 해도 말이다. TwitterFacebookPinterest Related Stories Arts & Culture 따라와! 인플루언서 활동가는 실제로 누구를 돕는가? Arts & Culture 탕헤르의 영화관 이토 바라다는 자신의 예술에 영감을 주는 도시를 위해 영화관을 만들었다. Arts & Culture 해나 트라오레 미술계의 다음 큰 흐름은 갤러리스트다. Arts & Culture 망가진 아름다움 미술품이 곤경에 빠질 때 Arts & Culture 어젯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페피 드부아시외는 저녁에 무엇을 했을까? Arts & Culture 어젯밤 플래닝투록이 저녁에 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