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cart chevron-down close-disc
:
Browse Categories
  • Arts & Culture

밖에서 안으로

남의 집 창문을 들여다보고 싶은 묘한 욕망.
글 by Baya Simons. 사진 by Salva López.

 

모르는 사람의 집을 들여다보면 왠지 금기를 어기는 뜻한 짜릿함을 느낀다. 아무도 몰래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지 관찰할 수 있는 드문 기회이기 때문이다. 관음증을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사적인 공간 속 타인의 모습에서 분명 어떤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대도시에서 특히 필요한, 낯선 사람들과의 교감을 느끼기도 한다.

앨프레드 히치콕의 1954년작 스릴러 「이창Rear Window」에서 이러한 강요된 친밀감은 도시 속 좁은 공간에 대한 관음증과 이웃 간의 도덕적 책임(또는 책임의 결여)을 은유한다. 다리를 다친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제프는 다시 일을 할 수 있을 때까지 맨해튼 아파트 창문으로 이웃들을 훔쳐보며 시간을 보낸다. 같은 곡을 강박적으로 반복 연주하는 작곡가, 아파트 안에서 걷는다기보다 춤을 추듯 이동하는 발레 댄서, 상상 속 손님과 만찬을 즐기는 외로운 여자를 관찰한다. 결국 그가 한 이웃이 아내를 살해했을지도 모를 정황을 목격하면서 ‘남의 사생활에 간섭하지 않는다’라는 불문율은 한계에 이른다. “내가 저 창을 통해 똑똑히 봤다니까요.” 제프는 찾아온 사람들에게 자신의 추리를 납득시키기 위해 이렇게 주장한다. 그는 타인의 집에 쳐들어가는 용서할 수 없는 행위를 허용하는 서류인 수색영장을 발급받기 위해 필요한 증거를 꿰맞춘다.

창문을 들여다보는 행위는 도덕적으로 미심쩍은 행동에 대한 문화적 비유다. 하지만 은밀함이라는 요소가 제거되면 어떻게 될까? 네덜란드에서는 남의 집 창문을 들여다보는 습관이 문화에 뿌리내려 있다. 16세기에 개신교 개혁가 장 칼뱅의 등장으로 시작된 칼뱅주의 종교 공동체는 시민이 하느님과 이웃에게 숨겨야 할 비밀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고, 커튼을 불온한 물건으로 취급했다. 운하를 따라 늘어선 암스테르담의 주택가에는 오늘날에도 커튼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밤에 운하를 따라 산책하는 사람들에게 남의 집 창문을 들여다보는 행위는 일종의 오락거리나 다름없다.

현대사회에서는 서로를 ‘훔쳐보는’ 기발한 방법이 수없이 등장하면서, 타인의 삶을 들여다보는 통로라는 창문의 기능은 예전만 못 하다. 하지만 미지의 주방이나 거실을 엿보는 것만큼 불온한 쾌감을 주는 것은 드물다. 살인 사건을 해결할 단서를 찾기보다 기껏해야 참고할 만한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얻는 게 전부라 해도 말이다.

kinfolk.kr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웹사이트 구조화,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 및 맞춤형 광고 노출을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사쿠키 정책을 참고하십시오. kinfolk.kr을 계속 사용하시려면 "동의하기"를 눌러 진행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