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드라마 「길모어 걸스」의 팬들은 오리지널 시리즈가 끝난 후 조숙한 주인공 로리 길모어가 어떤 사람으로 성장했는지 알게 되기까지 장장 9년을 기다렸다. 첫 일곱 시즌을 거치며 로리가 들려주는 이야기에서 우리는 그녀가 앞으로 큰 사람이 될 거라 짐작할 수 있다. ٤부작 후일담에서 그녀는 직장에서 해고되어 고향으로 돌아간 후 현재 약혼 상태인 대학 시절 남자 친구와 다시 로맨스를 시작한다. 『뉴요커』에 실린 (자주 언급되는) 기사 한 편 덕분에 지역신문 편집자로 새 출발을 하지만, 그녀는 마을에 오래 남아서 동네 ‘30대 패거리’가 되는 일은 절대 없을 거라 내내 주장한다. 한때 차세대 거물로 촉망받던 사람들은 실제 세계에도 얼마든지 있다. 학창 시절 싱글 음반이 라디오 방송을 타기도 했던 재능 넘치는 밴드를 기억하는가? 스포츠 에이전트에게 스카우트된 옆 마을 남자는? 이런 사연들은 짧은 기간 마을의 전설이라는 지위를 유지하지만 그런 전설에 매달리는 사람은 결국 성공하지 못한 전직 차세대 거물뿐이다. 일단 명성을 얻게 되면 그 이전의 순간에 머무를 이유가 없다. 성공을 빼앗긴 사람들만이 성공을 할 뻔한 순간을 그리워할 이유가 있다. 우리는 ‘잘될 수 있었을 사람들’을 측은히 여기는 경향이 있다. 시도했다가 실패하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서가 아니라, 그냥 어디 걸려 넘어지는 것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이 더 아프고 창피하기 때문이다. 또 그들은 개인의 성취를 그 사람의 가치를 증명하는 지표로 보는 사회 인식과, 특별한 소수에게만 해당되는 ‘당신은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는 공허한 약속이 얼마나 불편한지를 일깨운다. 그럼에도 절대 꿈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 의지가 있다고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보상을 받기 전의 황홀한 기대의 순간 역시 보상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소중한 경험에 속하기 때문이다. 성공한 적이 없는 사람들은 그들의 목표가 가치 있는 것인지 끝내 알지 못한 채 언제까지나 그런 기대를 간직하고 살 수 있다. TwitterFacebookPinterest Related Stories Arts & Culture 애나 위너 애나 위너는 실리콘밸리의 성공으로 가는 여정에 있었다. 그런데 방향을 바꾸었다. 알레시아 알레인이 기술-회의론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기록한다. Arts & Culture 미친듯이 바쁘게 성공을 꿈꾸는 자에게 휴식이란 없다. Arts & Culture 천연염색가 : 카라 마리 피아차 도시의 쓰레기와 잡초에서 색을 짜내는 뉴요커. Arts & Culture 귀여운 제품 포장 우유팩은 당신의 친구가 아니다 Arts & Culture 상자에서 갓 꺼낸 언박싱의 특이한 매력. Arts & Culture 문구 경쟁 인플루언서의 언어에 대하여.